| 1 | 학교교육계획수립 |
- 경기교육시책별 세부추진계획 수립
- 교육목표 달성가능성 있음
- 건학 이념 구현과 국가의 교육시책을 조화롭게 조직
|
- 내용이 좀 더 구체적이고 세분화시킬 필요가 있음
- 전교직원이 교육계획 수립에 동참
|
- 교육목표별 구현사항을 상세하게 세분화시킴
- 교과협의회 및 직원회의를 통해 의견 수렴
|
|---|
| 2 | 교육과정
편성․운영 |
- 다양한 의견 수렴과 조정을 통한 선택교육과정 운영
- 학부모 설명회 및 가정통신문 통한 학생 및 학부모 의견 반영
- 교육과정 운영 전담교사 배치 및 학년별 교육과정 편성 운영
|
- 학생희망을 반영한 학생 중심의 다양하고 특성화된 교육과정 운영 방안 모색
- 기초학습 부진학생 지도 방안 강구 및 수준별 교재 개발
- 이동수업의 혼란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 모색
|
- 학생 선택권 보장(수시 설문조사, 계열변경 안내, 계열 선택 및 선택과목 안내)
- 과정 설정에 따른 교과목 차별화 편성
- 재량활동 및 특별활동 운영 계획 수립
|
|---|
| 3 | 교수․학습 활동 |
- ICT활용교육기반 기자재 확보
-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충분한 공간 확보
- 기초, 기본학력 부진 학생 지도 노력
- 독서 교육 활성화를 위한 노력 및 도서관정보화 사업
|
- 학교홈페이지 운영 개선
- 학교 방송시설 및 인터넷의 여건을 고려한 환경 개선
- 교수, 학습활동의 내실화
|
- 홈페이지 개편 세부운영 진행
- 과학실 확보(4실) 실습체제 확보
- 학교홈페이지 학습란을 교과별로 분류, 내용 다양화
- 도서 확보, 독서활동 활성화
|
|---|
| 4 | 교육
평가 |
- 성적관련업무의 적정
- 객관성 ․ 공정성 ․투명성과 신뢰도 확보
- 수행평가 기준안 작성 활용
- 평가 문항 제작에 교사 공동 참여
|
- 수행평가 기준 정비 및 평가결과의 분석
- 교과협의회 /성적관리위원회의 활성화
- 우수 문항 개발 및 오류문항 발생 예방
|
- 수행평가 척도 보완, 일관된 기준의 공정성, 객관성 적용
- 교과별 평가문항 제작 연수를 실시
- 평가결과를 교과협의회를 통해 분석․차기 지도에 활용
|
|---|
| 5 | 특별활동
재량활동 |
- 학생이 희망하는 다양한 특별활동부서 운영
- 축제 및 교내․외 발표 대회를 통해 학생들의 기능신장 노력
|
- 적응 활동 지도를 위한 계획 필요
- 특별활동 활성화 및 지원
- 창의적 재량활동 연간 지도계획 수립 및 학습지도안 작성 활용
|
- 적응활동 계획 수립
- 외부전문시설 적극 활용, 실용적인 부서 편성,지도교사의 적극적인 지도
|
|---|
| 6 | 생활지도 |
- 학생 생활지도 방법 개선
- 학교 폭력추방 근절 계획 수립
- 인성교육을 위한 훈화자료 활용
- 지속적인 금연지도 및 교통질서지도 실시
- 양성평등교육, 성교육 실시
|
- 애교심 부족 및 이기주의 탈피 모색
- 체험적인 인성교육 프로그램 요구
- 특색 있는 생활지도 특설 프로그램 운영 방안 모색
- 전교사의 생활지도
|
- 다양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운영지도
- 학생선도규정 개정을 위한 의견 수렴
- 실내정숙 생활화
- 자기주변 휴지 줍기 운동
- 도울 학생을 위한 상담과 침구와 대화 및 칭찬 코너 운영
|
|---|
| 7 | 진로․상담 |
- 담임 및 교과담당교사를 통한 지속적인 상담활동 전개
|
|
|
|---|
| 8 | 특기적성교육활동 |
- 축제 및 동아리 발표대회 등을 통한 발표기회 제공
|
- 다양한 특기적성 프로그램 개설 및 동아리 활동 지원
|
- 각종 취미활동과 연계된 프로그램 개설
- 동아리별 책임지도교사 배정
- CA 및 휴업일을 활용한 운영지도
|
|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