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으로 바로가기메인메뉴 바로가기

S_visual.png

학교혁신과제

학교경영 우수사항 및 발전과제

학교경영 우수사항 및 발전과제
구분 추진 과제 우 수 사 항 발 전 과 제 환 류 계 획
1 학교교육계획수립
  • 경기교육시책별 세부추진계획 수립
  • 교육목표 달성가능성 있음
  • 건학 이념 구현과 국가의 교육시책을 조화롭게 조직
  • 내용이 좀 더 구체적이고 세분화시킬 필요가 있음
  • 전교직원이 교육계획 수립에 동참
  • 교육목표별 구현사항을 상세하게 세분화시킴
  • 교과협의회 및 직원회의를 통해 의견 수렴
2 교육과정 편성․운영
  • 다양한 의견 수렴과 조정을 통한 선택교육과정 운영
  • 학부모 설명회 및 가정통신문 통한 학생 및 학부모 의견 반영
  • 교육과정 운영 전담교사 배치 및 학년별 교육과정 편성 운영
  • 학생희망을 반영한 학생 중심의 다양하고 특성화된 교육과정 운영 방안 모색
  • 기초학습 부진학생 지도 방안 강구 및 수준별 교재 개발
  • 이동수업의 혼란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 모색
  • 학생 선택권 보장(수시 설문조사, 계열변경 안내, 계열 선택 및 선택과목 안내)
  • 과정 설정에 따른 교과목 차별화 편성
  • 재량활동 및 특별활동 운영 계획 수립
3 교수․학습 활동
  • ICT활용교육기반 기자재 확보
  •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충분한 공간 확보
  • 기초, 기본학력 부진 학생 지도 노력
  • 독서 교육 활성화를 위한 노력 및 도서관정보화 사업
  • 학교홈페이지 운영 개선
  • 학교 방송시설 및 인터넷의 여건을 고려한 환경 개선
  • 교수, 학습활동의 내실화
  • 홈페이지 개편 세부운영 진행
  • 과학실 확보(4실) 실습체제 확보
  • 학교홈페이지 학습란을 교과별로 분류, 내용 다양화
  • 도서 확보, 독서활동 활성화
4 교육 평가
  • 성적관련업무의 적정
  • 객관성 ․ 공정성 ․투명성과 신뢰도 확보
  • 수행평가 기준안 작성 활용
  • 평가 문항 제작에 교사 공동 참여
  • 수행평가 기준 정비 및 평가결과의 분석
  • 교과협의회 /성적관리위원회의 활성화
  • 우수 문항 개발 및 오류문항 발생 예방
  • 수행평가 척도 보완, 일관된 기준의 공정성, 객관성 적용
  • 교과별 평가문항 제작 연수를 실시
  • 평가결과를 교과협의회를 통해 분석․차기 지도에 활용
5 특별활동 재량활동
  • 학생이 희망하는 다양한 특별활동부서 운영
  • 축제 및 교내․외 발표 대회를 통해 학생들의 기능신장 노력
  • 적응 활동 지도를 위한 계획 필요
  • 특별활동 활성화 및 지원
    • 보충학습 신청 프로그램 활용
  • 창의적 재량활동 연간 지도계획 수립 및 학습지도안 작성 활용
  • 적응활동 계획 수립
  • 외부전문시설 적극 활용, 실용적인 부서 편성,지도교사의 적극적인 지도
    • 개선된 부서 편성
    • 외부기관과 협조 지도
6 생활지도
  • 학생 생활지도 방법 개선
    • 친절, 예절, 질서 생활화
  • 학교 폭력추방 근절 계획 수립
  • 인성교육을 위한 훈화자료 활용
  • 지속적인 금연지도 및 교통질서지도 실시
  • 양성평등교육, 성교육 실시
  • 애교심 부족 및 이기주의 탈피 모색
  • 체험적인 인성교육 프로그램 요구
  • 특색 있는 생활지도 특설 프로그램 운영 방안 모색
  • 전교사의 생활지도
  • 다양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운영지도
  • 학생선도규정 개정을 위한 의견 수렴
  • 실내정숙 생활화
  • 자기주변 휴지 줍기 운동
  • 도울 학생을 위한 상담과 침구와 대화 및 칭찬 코너 운영
7 진로․상담
  • 담임 및 교과담당교사를 통한 지속적인 상담활동 전개
  •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추수지도 방안 모색
  • 상담일지 누가기록으로 지속적인 활용
8 특기적성교육활동
  • 축제 및 동아리 발표대회 등을 통한 발표기회 제공
  • 다양한 특기적성 프로그램 개설 및 동아리 활동 지원
  • 각종 취미활동과 연계된 프로그램 개설
  • 동아리별 책임지도교사 배정
  • CA 및 휴업일을 활용한 운영지도
시설현황
추진 과제 우 수 사 항 발 전 과 제 환 류 계 획
9 근무 자세
  • 교과학습 부진학생 지도에 노력
  • 부단한 자기연찬 및 동료교사들과 상호 협력하는 자세로 전문성 신장
  • ICT활용 교수 학습자료 및 지도기법이 우수함
  • 다양한 교수․학습 실시를 위한 교사들의 적극적인 정보교환 필요
  • 다양한 교수․학습 방법 개발에 교사들이 적극 참여
  • 부진 학생, 학력 신장을 위한 세부계획 수립 추진
10 자율 장학
  • 공개수업을 통한 자율장학의 기반 조성
  • 교과협의회 및 현직연수 활성화
  • 교과연구에 해당 교사들이 모두 참여 사전 공개수업 검토회의를 통한 수업질의 향상
  • 교내 장학의 철저
  • 교과협의회 및 현직연수의 내실화
  •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
11 학부모 및 지역 사회
  • 학교활동에 대한 학부모들의 적극적인 참여
  • 도서관․급식․봉사활동 등 학부모들이 참여도 높음
  • 지역사회의 학교 시설 활용 활성화
  • 학교시설 보수 등에 지역사회자원 활용
  • 학부모 관심과 참여가 매우 높음
  • 교내 홈페이지 운영 활성화를 통한 학부모 참여 제고
  • 평생교육 프로그램(컴퓨터, 체력단련)
  • 정보공시의 신뢰성 확보
  • 적극적인 홍보로 많은 학부모의 관심 유도
  • 홈페이지 활용에 대한 가정통신문을 통한 홍보
  •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을 통한 지역사회 및 학부모와 함께하는 학교이미지 홍보
12 학교 운영 위원회
  • 학교 운영위원회의 합리적 구성 및 적극적인 활동
  • 보다 많은 학부모들이 학교교육 여건 개선에 참여하도록 유도
  • 다양한 홍보 실시
13 학교 공동체 융화
  • 학교공동체 융화를 위해 매월 교직원 체육대회 등 다양한 활동 전개
  • 교직원 화합을 위한 단체 활동 필요
  • 교사들의 참신한 의견의 제안이 학교 운영에 반영되는 분위기 조성
  • 각종 취미활동을 통한 동호회 활성화
  • 교사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기회 제공 (부서별 협의회 확대)
14 자구 노력
  • 오고 싶은 학교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자구노력이 이루어짐
  • 특별실 활용으로 수업의 질 향상
    • 도서관 및 열람실 완비
    • English Zone 운영
    • 체력단련실 활용:헬스기구 완비
    • 전교사 연수 실시
    • 세미나실 리모델링 완료
    • 과학실 확장, 체력보강기구 설치
  • 교사 및 학생들을 위한 복지시설 확충
  • 각 교실 인터넷연결 정비 및 ICT학습을 위한 시설 보완
  • 교사 및 학생들을 위한 복지시설 확충 노력(휴게실 환경조성)
  • 각 교실 기자재 보완, 정비, 관리 체계 확립
15 특성화 노력
  • English Zone설치 및 원어민 교사를 활용한 회화수업 전개
  • 체력보강기구 설치
  • 논술대비 독서교육의 활동 전개
  • 외국어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
  • 지역사회 홍보 필요
  • 논술대비 독서교육의 확대
  • 도서관 활용 우수 독서 학생 시상
  • 실용영어 활성화 방안 확대
  • 원어민 교사를 활용한 어학연수 추진
  • 다양한 프로그램 구상
  • 각 교과별 논술대비 교사모임활성화
  • 각종 행사의 학생 참여를 위한 시상 확대